AFC U-20 여자 아시안컵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- 1. 개요
- 2. 역대 대회
- 2.1. 2002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 (인도)
- 2.2. 2004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 (중국)
- 2.3. 2006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 (말레이시아)
- 2.4. 2007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 (중국)
- 2.5. 2009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 (중국)
- 2.6. 2011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 (베트남)
- 2.7. 2013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 (중국)
- 2.8. 2015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 (중국)
- 2.9. 2017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 (중국)
- 2.10. 2019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 (태국)
- 2.11. 2022년 AFC U-20 여자 아시안컵 (우즈베키스탄)
- 2.12. 2024년 AFC U-20 여자 아시안컵 (우즈베키스탄)
- 3. 대회 형식
- 4. 대한민국 대표팀의 성적
- 5. 수상
- 6. 국가별 성적
- 참조
1. 개요
AFC U-20 여자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(AFC)이 주관하는 20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의 국제 대회이다. 2002년부터 2019년까지는 AFC U-19 여자 챔피언십이라는 명칭으로 개최되었으며, 2022년부터 AFC U-20 여자 아시안컵으로 변경되었다. 일본이 6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며,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6회 준우승으로 가장 많은 준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. 대한민국은 2004년과 2013년 대회에서 우승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2002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- FIFA U-20 여자 월드컵
FIFA U-20 여자 월드컵은 20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이며, 2002년 FIFA U-19 여자 세계 선수권 대회로 시작하여 2006년부터 U-20으로 연령 제한이 상향 조정되었고, 독일,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, 미국이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. - 2002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- 아리랑 축제
아리랑 축제는 북한에서 열리는 대규모 집단체조 및 예술 공연으로, 아리랑을 주제로 김일성, 김정일 부자를 칭송하고 북한 체제를 선전하며 대집단체조, 군악대 공연, 카드섹션 등으로 구성된다. - AFC U-20 여자 아시안컵 - 2015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
2015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중국 난징에서 개최된 19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간 국제 대회이며, 일본,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, 대한민국이 상위 3위를 차지하여 2016년 FIFA U-20 여자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. - AFC U-20 여자 아시안컵 - 2009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
2009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중국과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되어 일본이 우승, 대한민국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, 상위 3개 팀은 2010년 FIFA U-20 여자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. - FIFA U-20 여자 월드컵 - 2010년 FIFA U-20 여자 월드컵
2010년 FIFA U-20 여자 월드컵은 독일에서 개최되었고, 독일이 우승했으며, 대한민국은 3위를 기록했다. - FIFA U-20 여자 월드컵 - 2018년 FIFA U-20 여자 월드컵
2018년 FIFA U-20 여자 월드컵은 FIFA 주관으로 프랑스에서 개최되어 16개국이 참가, 일본이 스페인을 꺾고 우승했으며 대한민국은 본선에 진출하지 못했다.
AFC U-20 여자 아시안컵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주최 | AFC |
지역 | 아시아 |
참가 팀 수 | 12 |
현재 챔피언 | (2회)}} |
최다 우승 팀 | (6회)}} |
현재 시즌 | 2024년 AFC U-20 여자 아시안컵 |
대회 정보 | |
대회 이름 | AFC U-20 여자 아시안컵 |
영어 이름 | AFC U20 Women's Asian Cup |
최근 대회 | |
현재 대회 | 2024 AFC U-20 여자 아시안컵 |
2. 역대 대회
2002년부터 2019년까지는 AFC U-19 여자 챔피언십, 2022년부터는 AFC U-20 여자 아시안컵이라는 명칭으로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. 2022년 대회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되었다.[4]
연도 | 개최국 | 결승전 | 3·4위전 | 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우승 | 점수 | 준우승 | 3위 | 점수 | 4위 | ||||
AFC U-19 여자 챔피언십 | |||||||||
2002 | 일본 | 2 – 1 | 중화 타이베이 | 중국 | 4 – 1 |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|||
2004 | 대한민국 | 3 – 0 | 중국 |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4 – 0 | 태국 | |||
2006 | 중국 | 1 – 0 |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오스트레일리아 | 3 – 2 | 일본 | |||
2007 |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1 – 0 | 일본 | 중국 | 1 – 0 | 대한민국 | |||
2009 | 일본 | 2 – 1 | 대한민국 |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1 – 0 | 중국 | |||
2011 | 일본 | 라운드 로빈 |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중국 | 라운드 로빈 | 대한민국 | |||
2013 | 대한민국 | 라운드 로빈 |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중국 | 라운드 로빈 | 일본 | |||
2015 | 일본 | 0 – 0 (연장) (승부차기 4 – 2) |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대한민국 | 4 – 0 | 중국 | |||
2017 | 일본 | 1 – 0 |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중국 | 3 – 0 | 오스트레일리아 | |||
2019 | 일본 | 2 – 1 |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대한민국 | 9 – 1 | 오스트레일리아 | |||
AFC U-20 여자 아시안컵 | |||||||||
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하여 취소됨 | |||||||||
2024 |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2 – 1 | 일본 | 오스트레일리아 | 1 – 0 | 대한민국 |
대회 명칭은 2019년 대회까지는 “AFC U-19 여자 챔피언십(AFC U-19 Women's Championship)”이었지만, “아시아컵” 브랜드를 향상시키기 위해 모든 AFC 주최 대회에 “아시아컵” 이름을 붙이기로 했고,[5] 또 다음 대회부터는 본 대회 개최 연도를 1년 늦춰 FIFA U-20 여자 월드컵과 같은 해로 하고(출전 자격도 U-20이 됨)[6] 2022년 대회부터 “AFC U-20 여자 아시안컵”으로 개칭했다.
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1번의 대회에 모두 참가하여 총 56경기에서 43승 5무 8패, 202득점 32실점, 골득실 +170, 승점 134점으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. 일본은 11번의 대회에 참가하여 총 53경기에서 37승 9무 7패, 189득점 31실점, 골득실 +158, 승점 120점으로 그 뒤를 이었다. 대한민국은 11번의 대회에 참가하여 총 50경기에서 29승 4무 17패, 158득점 54실점, 골득실 +104, 승점 91점을 기록했다.
순위 | 팀 | 참가 횟수 | 경기 | 승 | 무 | 패 | 득점 | 실점 | 골득실 | 승점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(북한) | 11 | 56 | 43 | 5 | 8 | 202 | 32 | +170 | 134 |
2 | 일본 (일본) | 11 | 53 | 37 | 9 | 7 | 189 | 31 | +158 | 120 |
3 | 대한민국 (대한민국) | 11 | 50 | 29 | 4 | 17 | 158 | 54 | +104 | 91 |
4 | 중국 (중국) | 11 | 52 | 25 | 9 | 18 | 157 | 59 | +98 | 84 |
5 | 오스트레일리아 (오스트레일리아) | 9 | 39 | 17 | 1 | 21 | 77 | 80 | –3 | 52 |
6 | 중화 타이베이 (중화 타이베이) | 5 | 18 | 6 | 2 | 10 | 54 | 39 | +15 | 20 |
7 | 태국 (태국) | 7 | 24 | 6 | 1 | 17 | 31 | 73 | −42 | 19 |
8 | 인도 (인도) | 3 | 10 | 3 | 0 | 7 | 9 | 58 | −49 | 9 |
9 | 베트남 (베트남) | 6 | 20 | 3 | 0 | 17 | 30 | 84 | −54 | 9 |
10 | 미얀마 (미얀마) | 4 | 14 | 2 | 0 | 12 | 9 | 58 | −49 | 6 |
11 | 우즈베키스탄 (우즈베키스탄) | 5 | 15 | 1 | 1 | 13 | 7 | 77 | −70 | 4 |
12 | 필리핀 (필리핀) | 1 | 3 | 1 | 0 | 2 | 4 | 8 | −4 | 3 |
13 | 요르단 (요르단) | 1 | 3 | 1 | 0 | 2 | 2 | 17 | −15 | 3 |
14 | 싱가포르 (싱가포르) | 2 | 6 | 1 | 0 | 5 | 2 | 42 | −40 | 3 |
15 | 홍콩 (홍콩) | 2 | 6 | 1 | 0 | 5 | 4 | 45 | −41 | 3 |
16 | 네팔 (네팔) | 1 | 3 | 0 | 0 | 3 | 2 | 29 | −27 | 0 |
17 | 이란 (이란) | 1 | 3 | 0 | 0 | 3 | 1 | 29 | −28 | 0 |
18 | 괌 (괌) | 2 | 6 | 0 | 0 | 6 | 0 | 54 | −54 | 0 |
19 | 말레이시아 (말레이시아) | 2 | 5 | 0 | 0 | 5 | 1 | 81 | −80 | 0 |
2. 1. 2002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 (인도)
2002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에서 일본이 중화 타이베이를 결승전에서 2-1로 꺾고 초대 챔피언에 등극했다. 3·4위전에서는 중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4-1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.2. 2. 2004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 (중국)
2004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은 중국에서 개최되었다.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중국을 3-0으로 완파하고 우승을 차지했다. 이는 대한민국 여자 축구 역사상 AFC 주관 대회 첫 우승이다.[4]우승 | 점수 | 준우승 |
---|---|---|
대한민국 | 3 – 0 | 중국 |
3위 | 점수 | 4위 |
---|---|---|
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4 – 0 | 태국 |
2. 3. 2006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 (말레이시아)
2006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은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되었다. 결승전에서 중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1-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.[4] 3·4위전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일본을 3-2로 이기고 3위를 기록했다.2. 4. 2007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 (중국)
2007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은 중국에서 개최되었다.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결승전에서 일본을 1-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.[4] 3, 4위전에서는 중국이 대한민국을 1-0으로 이겼다.[4]우승 | 점수 | 준우승 | 3위 | 점수 | 4위 |
---|---|---|---|---|---|
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1 – 0 | 일본 | 중국 | 1 – 0 | 대한민국 |
2. 5. 2009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 (중국)
2009년 대회는 중국에서 개최되었다. 결승전에서는 일본이 대한민국을 2-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.[4]